Xp
자동
Free-Talk

혹시 논문 출판을 해보신 느바 매니아분들이 계실까요?

 
  1007
2016-12-19 18:19:55

안녕하세요
일하면서 파트타임 비슷하게 대학원을 다니는 인간입니다
석박사 통합으로 현재 5학기째, 다음학기에는 이수가 되는데요

대학원을 재학중이면서 등재지(KCI)에 단독저자로 4편 투고 성공 했고, 현재(16년 12월) 1편은 수정 후 게재가 되어 최종적으로 5편이 될 것 같습니다. 1~2학기때는 논문을 출판하지 않았고, 3학기 후반으로 지금까지 1년 1개월 동안 꾸역꾸역해서 5편의 논문 경력을 가지게 되는군요

그런데, 여기서 질문입니다.

1) 해외 논문(SSCI)의 필요성은 얼마나 될까요?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SSCI 논문은 일반적으로 등재지보다 3~4배의 가중치를 두는 것으로 조사 되었습니다 (예: 교수 임용시, 교수 업적 평가시). 그러나 SSCI는 영어로 해야한다는점, 난이도가 높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SSCI를 1편하는 것보다 등재지를 3~4개하는게 더 "효과적"이라고 하는데, 이야기를 들어보면 SSCI에 할수 있으면 하는 것이 좋다고 하더군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IF 문제도 있구요.
(참고로 과거에는 SSCI를 높게 쳐주었을 때 SSCI가 등재지의 8~10배 정도의 가치가 있었던 시절도 있었던 것 같군요... 완전 흠좀무입니다 )

2) 단독 저자의 경우, 사회성이 떨어질수도 있다고 해서 부정적으로 볼 수 있다는데 사실인가요? 보통 학생의 경우 교수님이나 다른 연구자들과 같이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제가 먹고 살기가 힘들고 지도 교수님도 바쁘셔서 어쩔 수 없이 단독저자로 했는데 이것이 문제 될 수 도 있는 것일까요? 요새 논문 트렌드가 팀워크로 같이 한다는 소리도 들었습니다만, 다른 사람들과 같이 할 시간 조차도 없어서 곤란하군요

이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6
Comments
2016-12-19 18:32:43

이것은 글쓰신분 인생이 걸린 가장 중요한 질문이라서, 해당ㅈ분야에 몸담고 그분야 구직구조도 잘 아시는 어른에게 직접 상담받아야 할 것 같습니다만, 2번은 개인적으로 금시초문이네요.

2016-12-19 19:14:03

전공에 따라 다를텐데요. 


일단 저는 공과대학 대학원생입니다.

1) 이쪽 분야에서는 KCI 는 쳐주지도 않습니다. 무조건 SCI 고. 이마저도 최근에는 top conference 의 중요성이 커지고 이에 따라 교수 임용 기준도 바뀌고 있습니다.

2) 보통 단독저자라고 하면 저자 + 지도교수가 일반적인데.. 홀로 단독저자가 국내 대학원에서 가능한지요? 보통 이런 경우는 교수님이랑 관계가 틀어진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 교수님이랑 discussion 만 해도 저자에 넣는 것이 일반적일텐데요.. 이 부분은 보는 사람 관점에 따라 이상하다고 생각할 가능성은 있어 보입니다.
WR
2016-12-19 19:44:56

@ Newyork33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Bulls 왕조부활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저는 인문/사회 계열이고, 인문/사회계열은 보통 국내 등재지를 인정해줍니다. 언급되었듯이, 등재지 100점 ssci 300~400점 이런식으로 됩니다. (현 상황에서 단독저자이니까 1/n은 없습니다) 그리고 단독저자는 노력만 하면 (+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주제로) 누구나 가능합니다. 지도교수님도 문제 삼으지 않으셨구요. 공대쪽도 요샌 퍼블이 너무 힘들다고 들었는데 ㅠㅠ 왕조부활님도 화이팅입니다.

2016-12-19 19:58:39

ㅠㅠ 화이팅입니다.!!

2016-12-20 01:03:56

대부분의 인문계열은 국내에서 교수 임용시 ssci는 필수입니다. 그것도 한두편으로는 어렵구요. 단독저자는 보통 더 인정해주고, 1저자 또는 교신저자를 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많은 학교에서 2저자보다 3저자겸 교신저자를 더 쳐주고요.

2016-12-20 02:03:12

조금 덧붙이자면 SSCI가 없으면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서류에서 다 커트되는게 대부분입니다. 오히려 미국이나 해외의 경우 Peer reviewed 저널이나 북챕터도 어느 정도는 인정해주기는 하는데, 한국 같은 경우는 SSCI가 아닌 저널의 출판은 거의 출판으로 봐주지 않고 peer reviewed는 그나마 질적 고려 대상이 될 지언정 국내 논문 퍼블리시는 교수임용시에는 거의 쓸모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 학계에 가장 안좋은 부분 중 하나라 생각하지만 아직까지는 현실이 그렇네요.

글쓰기
검색 대상
띄어쓰기 시 조건








SERVER HEALTH CHECK: 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