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p
자동
Free-Talk

공손찬이 만약에 기주를 먹었더라면

 
  2649
Updated at 2017-10-12 14:12:09

삼국지의 역사는 공손찬 쪽으로 흘렀겠죠?

 

원소랑 기주를 반반하기로 했는데 배신당해서 동생도 죽은걸로 알고있습니다.

 

한때 원소와 세력이 비등했는데 왜 유명했던 장수는 많이 없었나요?

 

기주를 먹었으면 전풍과 저수도 한복 신하였으니 엘리트 참모들도 생겼을 거고

 

정말 아무것도 없이 시작해서 그만큼 올린 공손찬이니 괜찮은 참모만 있었으면 조조가 아닌 공손찬쪽으로

 

흘러가는 삼국지가 될 수도 있었을것 같네요.

11
Comments
2
2017-10-12 14:25:21

공손찬의 경우 호족, 사대부 중심으로 인재를 등용하지 않았습니다. 점쟁이, 상인들을 등용했다고 하죠. 저는 이러한 인재 등용이 등용된 인재들의 이름이 남지 않은 원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전풍 저수 등등도 모두 기주의 호족 출신이라 아마 공손찬은 이들을 죽여버렸을 가능성이 더 클 것 같네요.

그리고 공손찬과 원소의 기주를 놓고 벌어진 싸움은 단순하게 볼 만한 것은 아닙니다. 순서대로 보면,
1. 반동탁연합군 해산 이후 한복이 원소의 군량을 끊음
2. 원소가 공손찬에게 같이 한복을 칠 것을 제안함
3. 공손찬이 한복군을 격파, 한복은 공손찬을 더 무서워해서 원소에게 항복
4. 원소가 약속한 기주 절반을 주지 않음
5. 공손찬이 동생 공손월을 파견하여 원술과 협력하여 원소를 공격함.
6. 원소가 주앙, 주흔 등을 지원해 원술을 저지. 이 때 공손월 전사
7. 분노한 공손찬이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원소 공격
8. 원소가 공손찬에 사과하면서 발해태수 자리를 공손범에게 양도
9. 공손찬은 발해군 접수 후에도 공세를 멈추지 않음
10. 계교 전투에서 원소군 승리, 이후 일진일퇴로 승부 나지 않음

대략 이정도네요. 원소도 첫 근거지인 발해군(남피)을 양도한 것 보면 서로 할만큼은 한 것 같고, 누가 딱히 일방적으로 잘못했다고는 보이지 않습니다.

사실 8과 9번쯤 사이에서 청주에 20만 황건군이 몰려드는데, 공손찬이 이를 모조리 박살내고 물자를 노획합니다. 이때가 공손찬 최전성기였고, 자기 사람으로 기주 청주 연주 유주자사를 다 지멋대로 임명하죠. 그런데 여기서 계교에서 패배하고 만 것이 정말 아쉽다면 아쉬운 점이겠네요. 그러나 기존 사회질서를 매우 혐오했다는 점에서 통일엔 한계가 있지 읺았을까 합니다.

WR
2017-10-12 14:28:15

계교에서 격파당한게

 

관도대전만큼 둘 사이에서 큰 전투였나요??

2017-10-12 14:33:14

둘 사이로 한정짓는다면 관도대전만한 위상을 갖고 있다고 보입니다. 심지어 세력 차이도 비슷하네요.

2017-10-12 14:33:16

규모야 관도대전이 크지만, 계교 이후 공손찬이 수세로 돌아서다 멸망한건 맞죠. 

2017-10-12 14:48:16

계교에서 공손찬이 자랑하는 백마의종이 국의한테 깨졌습니다. 그동안 공손찬이 이민족을 벌벌 떨게 만들고, 하북을 휩쓸고 다녔던 가장 큰 원동력이 바로 무적의 기병대라던 백마의종인데, 이게 박살나버렸으니까요.

 

공손찬의 기병대를 깰 수 있는 무력을 지닌 국의라는 장수가 원소에게 붙어버리고 그게 계교에서 공손찬의 패배로 이어지면서 힘의 균형을 잃은 셈입니다.

10
Updated at 2017-10-12 14:51:57

공손찬의 경우는 그냥 군벌입니다. 난세에서 무력 하나로 밑바닥에서부터 올라와 제법 큰 군벌 세력까지 갖추었지만 그저 한 지역에 웅거하는 군벌 정도지 천하를 다툴 그릇은 못 됩니다. 정세판단 능력도 떨어져서 유우를 죽이는 우를 범하기도 했구요.

 

공손찬 휘하에 이름난 장수가 없는 건, 공손찬 그 스스로가 여포처럼 세력에서 최고의 무장이었으며 공손찬군의 강함이 이른바 "백마의종"이라는 강력한 기병대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즉 휘하에 맹장이 많은 게 아니라 공손찬 스스로가 강했고, 그가 거느린 병종 자체가 당대 최고의 기병대였던 겁니다.

 

공손찬의 백마의종은 기마전에 능한 북방 민족들까지 두려워할 정도로 막강했습니다. 사실 공손찬도 기병대의 힘을 과신하고 달려들다가 계교에서 크게 패하면서 기세가 꺾였죠. 계교 패배 이후 힘의 균형은 동등하게 맞쳐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공손찬이 하북에서 인망을 얻고 있던 유우를 죽였고, 또 본래가 덕망이 없는 인물이었기 때문에 강대한 군사력을 좀 잃고 난 뒤에 세력이 급속도로 쇠퇴하게 된 거죠.

 

공손찬의 백마의종을 계교에서 물리친 이가 바로 국의인데, 삼국연의에서는 엑스트라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굉장한 맹장입니다. 공손찬의 막강 기병대를 강노로 무찔렀고, 이후 원소의 메인 무장으로서 계속 공손찬을 괴롭혔죠. 연의에서는 안량, 문추를 원소의 대표적인 상장으로 쳤지만 실제로 가장 강력한 건 국의였습니다. 다만 국의는 원래가 "하북의 여포"같은 위인으로 힘은 셌지만 언제든 주인을 배신할 수 있는 승냥이같은 자였죠. 원소와의 관계도 믿을 만한 수하라기보단 일종의 용병과도 같았고, 국의의 군대는 독립 무장 집단의 성격이 강했습니다. 결국 나중에는 원소의 의심을 사서 제거되고 말았죠.

 

공손찬이 설령 계교에서 승리해 원소를 제압했다 하더라도 과연 원소, 한복이 지녔던 인적자원을 고스란히 흡수해 강대한 참모진을 갖추었을지는 심히 의문입니다. 애초에 전풍, 저수, 심배같은 인재들은 원소의 도량과 배경을 보고 따른 이들이죠. 비록 힘이 있다곤 해도 천성 군바리에 인망도 없는 공손찬을 따르리란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오히려 공손찬의 적대 세력이었던 유우 쪽에 붙어서 공손찬을 괴롭히거나 이도저도 아니면 조조나 유표 쪽에 붙었겠죠. 여포가 만약 조조를 이겼다고 하더라도 순욱, 순유, 곽가가 고스란히 여포에게 협력했을리 없는 것과 같은 맥락이죠.

 

유우가 공손찬을 적대했던 것도, 명문가 배경의 귀족 관료 출신으로 세력이 커지면 쇠퇴하는 한 황실을 부흥시킬 경륜 있는 인물로 전혀 보지 않았던 것 때문입니다. 오히려 한 황실을 뒤집거나 잘 해봐야 동탁 정도의 권세나 휘두를 전형적인 변방 출신 위험한 군벌이었던 거죠. 이렇게 유우가 자신의 실체를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눈엣가시였기에 결국 공손찬은 그를 제거하지만, 이때문에 하북의 인심을 죄다 적으로 돌리고 말았습니다. 공손찬이 정말 원소, 조조 등과 같이 천하를 다툴 경륜이 있었다면 그런 어리석은 선택은 하지 말아야 했습니다. 계교 전투 패배 이전처럼 천하에 당해낼 자 드문 확고한 군사력이라도 유지하고 있었으면 몰라도요.

 

공손찬은 유비와의 친분 때문에 연의에서도 괜찮은 호걸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힘 세고 좀 재간 있는 군바리 정도였습니다. 뭐 나름 협기는 갖춘 인물이었을테지만, 그 정도 협기는 동탁, 원술도 갖추고 있었을 정도죠. (여기서 말하는 협기는 대충 조폭 두목 정도 되는 카리스마입니다.) 이민족들조차 두려워하던 무력을 지녔고 반면에 식견과 인망은 부족했던 걸 보면 기껏 마초와 비슷한 레벨의 위인입니다. 

 

1
2017-10-12 15:00:03

맞죠. 결국 사족세력을 포용해야 뭘 어쩌고 해볼 수 있는건데, 공손찬은 유우와 척을 지면서 사족세력과 척을 졌죠. 노식문하라고는 하지만 유비 등 포용할 가능성이 있는 인재들을 다 떠나보냈죠(유비를 잡으면 관우 장비가 세트인데). 그 후에 조운도 떠나보내고 결국은 본인 인덕이 그것밖에 안되었다고 봐야겠죠. 

1
2017-10-12 17:27:48

맞습니다.

원소가 그냥 가문빨로 하북을 먹은게 아닙니다.

원소는 엄청난 능력자라서 하북을 먹은 겁니다, 공손찬에겐 이런 능력이 부족했구요.

원소가 쇼크사 하지만 않았어도 조조가 하북을 먹지 못했을 겁니다.

아님 원담을 죽여버렸거나요.

2017-10-12 17:52:48

진작에 조조에게 말렸거나 혹은 새로운 인물이 나타났겠죠. 공손찬은 주 이상을 호령하고 유지할 그릇이 못됩니다

2017-10-12 22:15:12

유우를 죽이고 청류파와 완전히 척진 상황에서 절대 원소나 조조만한 세력 구축 못했을겁니다.

2017-10-12 22:48:41

전 오히려 "원소가 조조하고 붙기 전~ 붙었을 때 건강했다면?" 하는 상상을 자주해보네요.

글쓰기
검색 대상
띄어쓰기 시 조건








SERVER HEALTH CHECK: OK